칼럼
강좌
 HOME  > 건강새소식  > 강좌

사망의 원인이 되는 노인 독감, 예방접종 필수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노인들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면역체계가 약해져서 폐렴과 같은 독감 합병증이 나타났을 때 잘 이겨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독감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다.
실제로 모든 연령 중 독감 합병증으로 사망할 위험은 84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독감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나

독감은 보통 극도의 피로감으로 시작하여 열, 두통, 전신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피곤함이나 피로감은 2-3주 정도 지속될 수 있고 전신통은 더 심해질 수 있으며 이따금씩 인후통,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때로 오심, 구토, 설사 등과 같이 위장관계와 관련된 증상들이 나타날 수는 있으나 보통은 어린이들에게서 좀 더 흔하게 나타난다.

독감 예방의 가장 좋은 방법, 독감 예방접종

노인은 독감에 걸리면 회복 속도가 느린 만큼 독감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감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다.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바뀌기 때문에 해가 바뀔 때마다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미국 국립 노화 연구소에 따르면 독감 예방접종은 요양 시설에 거주하지 않는 노인 중 약 70%의 입원을 감소시키고 85%의 사망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요양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우 입원의 위험이 약 50%로 감소하고 폐렴의 위험은 약 60%로 감소, 사망의 위험은 75-80%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는 폐렴 백신도 맞도록 권하고 있다. 폐렴 백신은 노인에게 있어 세균성 폐렴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독감 주사와 동시에 맞을 수 있다.

독감 치료는 어떻게

휴식과 함께 수분섭취를 충분히 한다. 병원에서 약을 처방 받거나, 약국에서 감기약이나 독감 약을 살 때에는 반드시 평소 복용하고 있는 약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야 한다.

항바이러스 약은 독감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감기 증상이 나타난 즉시(48시간 이내) 복용해야 한다. 항바이러스 약은 독감 바이러스의 복제를 차단하여 전파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때때로 독감에 걸린 사람과 함께 있어 독감에 걸릴 우려가 있는 사람에게 예방의 목적으로 투약되기도 한다.

노인에게 있어 주의가 요구되는 독감 증상

독감과 함께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방문하길 바란다.
◈ 독감과 함께 숨쉬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 독감 증상이 전혀 호전되지 않거나 3-4일 경과 후 더 악화된 경우
◈ 독감 증상이 악화되어 오심, 구토, 고열, 오한, 흉통, 심한 기침, 녹황색 점액 등 갑자기 좀 더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한 경우

관련기사

돼지 독감과 감기의 차이점

신종 플루 치료제, 병원엔 없다?

돼지독감의 모든 정보(Q&A)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www.hidoc.co.kr)


이전글 : 섬유근통증, 수중 운동으로 다스려요~
다음글 : 류마티스 관절염 = 그냥 관절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