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jrigjwwe9r3edt_lecture:conts 끝없이 밝혀지는 흡연의 유해성
담배는 인디언이 종교의식과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하던 것이 콜럼버스에 의해 유럽과 전세계적으로 퍼지기 시작하였고, 유럽에 처음으로 담배가 유행하는 당시 유해성의 논란이 있었지만 이해관계에서 담배의 유해성이 묻혀지고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 민감하게 대처하였다면 지금의 담배의 유해성으로 많은 사람이 고통 받지 않았을 것입니다. 지금부터 더 많은 연구와 노력으로 담배로부터 보호하고 이미 담배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담배의 유해성
흔히 우리에게 알려진 담배의 유해성으로는 담배연기 속에 약 4000여종이나 되는 많은 발암물질과 독성 화학물질이 들어있다는 것입니다. 이중 20여종이 A급 발암물질이고 이 중에서도 흡연 시 발생하는 물질 중 건강에 가장 해로운 물질은 타르, 일산화탄소(CO), 니코틴 3가지 성분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이중 타르는 일반적으로 담배진이라고 부르는 독한 물질로 담배 한 개피를 피울 때 흡입되는 타르의 양은 대개 10mg 이내로 한 사람이 하루에 한 갑씩 담배를 피울 때 1년간 모이는 타르의 양은 보통 유리컵 하나에 꽉 찰 정도로 많습니다. 이 타르는 담배연기를 통해서 폐로 들어가 혈액에 스며들어 우리 몸의 모든 세포, 모든 장기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잇몸, 기관지 등에는 직접 작용하여 표피세포 등을 파괴하거나 만성 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일산화탄소는 무연탄 냄새로 이미 우리에게 잘 알려진 물질입니다. 담배를 피우는 것은 마치 적은 양의 무연탄 냄새를 지속적으로 맡고 있는 것과 같으며,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감퇴시켜 만성 저산소증 현상을 일으켜 신진대사와 뇌에 장애를 주고 조기 노화현상을 일으킵니다.
니코틴은 담배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는 마약성 물질로 담배 한 개비에는 10mg 정도의 니코틴이 들어있는데, 이 중 흡수되는 니코틴 양은 1mg 정도이나, 흡연 양상에 따라 3mg을 넘을 수도 있습니다. 니코틴은 빠르게 동맥 내 혈류 속으로 흐르면서 심장을 거쳐 뇌로 운반되는데, 담배를 피우고 니코틴이 뇌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7초 정도입니다.
흡연과 연관된 각종 질병들
이처럼 담배의 유해 성분이 밝혀져 있고 이 유해 성분에 의해 이미 폐암과 식도암, 그리고 구강암을 일으킨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요새는 직접 담배에 노출 되지 않는 부분의 질병이 담배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들이 나와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 한번 더 일깨워 주고 있습니다. 현재 발표 된 담배와 구체적인 질병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간] -간암 치료 후 담배를 하루 10개비 이상 피우면 암 재발률이 2배 -C형 간염 감염자의 흡연을 할 경우 C형 간염 재발률이 비감염자에 비해 3배 -간에 복수의 암이 있었던 사람의 흡연을 할 경우 재발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약 2배 [눈] -노화 퇴적물이 망막 아래에 쌓이고 신생혈관이 생겨 시세포가 파괴되는 병인 노인성 황반변성이 흡연하지 않는 사람보다 발병률이 2~3배
[태아] - 담배연기는 여성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주어 태반을 통한 혈류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하루 20개비 이상 담배를 피우는 임산부는 유산율이 상당히 높음
[피부] -30년간 하루에 한갑씩 담배를 피우면 비흡연자보다 주름살이 2.8배 많음 -마른 버짐도 비흡연자보다2~3배 높음 -담배를 피우다 보면 윗입술이 많이 사용되므로 윗입술에 잔주름이 많이 생김
계속 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속속히 흡연의 폐단이 밝혀 지고 있고, 상당부분 담배에 대한 유해성을 알고 있지만 당장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 들이지 않습니다. ‘설마 내가’라며 담배로 인한 질병이 나에게는 비켜간다는 안일한 생각이 내일 가족의 불행이 되어 돌아 올지 모릅니다. 자신의 소중함과 가족을 사랑하신다면 지금 당장 금연하시기 바랍니다.
|